
밥을 먹고 나서 하는 사소한 생활습관이 내가 기껏 해서 챙겨 먹은 건강한 음식을 헛수고 가 되게 하고 나아가서는 갖가지 질병을 불러올 수 있습니다
최적의 건강을 유지하기 위해 피해야 할 위험한 식후 습관에 대해 알아보고 이런 습관이 다양한 건강 문제로 이어질 수 있는 이유를 알아보세요.
무엇을 먹는지 못지않게 중요한 것은 식사 후에 무엇을 하느냐입니다.
습관은 영양가 있는 식사의 장점을 강화하거나 다양한 건강 문제에 밀접한 관계가 있습니다.
이러한 습관을 살펴보고 식사 후 시간을 최대한 활용하는 방법을 알아보세요.
1. 시후 즉시하는 칫솔질은 피하세요.
치아 건강은 오복 중에 하나입니다.
일부 음식과 음료의 산성 특성은 에나멜을 약화시킬 수 있습니다.
대신, 물로 입을 헹구고 최소 1시간 정도 기다렸다가 양치를 하세요.
특히 산성 음식이나 오렌지 주스, 커피, 와인과 같은 음료를 섭취한 경우 식사 후 즉시 이를 닦으면 치아의 보호하는 애나멜 층이 벗겨지게 됩니다.
애나맬 층을 보호하려면 식사 후 물로 입을 헹구고 최소 1시간 정도 기다렸다가 양치를 하세요.
2. 식사 직후에는 커피와 차를 피하세요
커피와 차에는 철분 흡수를 방해하는 탄닌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식사 직후 이러한 음료를 섭취하면 철분 흡수를 방해할 수 있습니다.
한 연구에 따르면 녹차를 마셨을 때는 철분 흡수 1일 최대 60% 까지 그리고 커피를 마셨을 때는 최대 50% 까지 떨어지는 것을 나타났습니다
또한 커피와 녹차 속의 탄닌 성분이 철분 뿐만 아니라 전립선 기능을 강화하는 아연 같은 다른 미네랄 흡수 해도 영향을 끼칩니다
커피나 차를 즐기려면 식사 후 최소 30분 정도 기다리세요.
3. 식사 후 눕지 마세요
식사 후 누워 있으면 식도의 위치가 낮아져 위장안에 있는 음식물과 위산이 역류하고 소화 불량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거기다 잠까지 자게 되면은 위장 안에 음식물의 머무르는 시간이 길어지면서 위에 역류성 식도염 등이 더 쉽게 생길 수 있어요

또한 먹고 바로 자는 습관은 당료병 발생률도 높이기 때문에 이러한 식후습관은 정말 피해주셔야 합니다.
식후 가볍게 걷거나 똑바로 앉아 있으면 소화에 도움이 됩니다.
소화불량을 예방하려면 식사 직후에는 잠을 자지 마세요.
4. 식사 직후에는 디저트를 건너뛰세요
단 디저트는 급격한 혈당 급등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식사 직후 달콤한 디저트를 섭취하면 혈당이 급격히 상승하여 췌장에 부담을 줄 수 있습니다.
대부분의 디저트류가 설탕 같은 정제 당을 사용해서 만들어지기 때문에 일반 탄수화물 보다 혈당 올리는 속도가 매우 빠르고 혈당을 튀게 하는 혈당 스파이크를 생기게 합니다
그리고 이후에는 반작용으로 혈당이 올라갔던 만큼 다시 떨어지면서 기운이 빠지고 금방 허기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식후 디저트보다는 공복 간식을 먹는 습관이 좋습니다.
5. 식사 후 격렬한 운동은 피하세요
강렬한 운동은 소화 기관에서 혈액의 방향을 전환시킵니다.
식사 직후에 운동을 하면 소화 장애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식사 후 즉시 격렬한 운동을 하면 혈액이 소화 기관에서 운동하는 부위의 방향으로 혈류가 이동하게 되어 잠재적으로 소화 불편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밥먹고 나서 뛰게 되면 위 경련이 일어나기도 합니다.
편안한 마음으로 산책을 하거나 적당하게 움직이면 소화의 분비도 활발해지고 위장의 연동운동도 경쾌해집니다.
이러한 식후 습관을 일상 생활에 적용하면 건강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해로운 습관을 피하고 더 건강한 대안을 받아들임으로써 식사가 신체에 필요한 영양분을 제공하도록 할 수 있습니다.
중요한 것은 무엇을 먹는지 뿐만 아니라 매 식사 후 몸을 어떻게 관리하는지도 중요하다는 점을 기억하십시오.
'건강과 다이어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조기 사망률을 낮추는 아침 식사! 최고의 음식 BEST5! (1) | 2025.11.19 |
|---|---|
| 모르면 손해인 자면서도 살이 빠지는 기초대사량 높이는 다이어트(1) (0) | 2025.11.19 |
| 케르세틴의 힘(자가포식,염증,혈관,관절,근육) (0) | 2025.11.18 |
| 간헐적 단식의 효과와 실행법 (0) | 2025.11.17 |
| 빛나는 피부를 깨워라: 영양제의 힘 (0) | 2023.08.29 |